기업·산업분석
-
[중국/신흥국주식] 4월 산업생산에서 찾는 투자 아이디어: 로봇
4월 중국 산업생산은 전년동월대비 6.1% 증가하면서 시장예상 (5.7%)을 상회했습니다. 하이테크 산업이 10% 성장하며 전체 산업생산을 이끄는 가운데, 그 중에서도 산업용로봇 생산이 두드러집니다. 산업용로봇 생산은 전년동월대비 52% 늘었고, 이와 함께 주가도 견조합니다. 중국 로봇은 긴 호흡으로 볼 필요가 있습니다.
해외주식분석 정정영 2025.05.21
-
[미국주식] US Hot Clip AI와 폭염 수혜 기대되는 원전과 IPP
US Hot Clip이 발간되었습니다. 주요 이슈, 주요 지수 및 주간 수익률, 미국 주식 MP 수익률, 섹터 동향 등을 담았습니다.
해외주식분석 강재구 2025.05.20
-
[미국주식] 6월: 미국주식 Model Portfolio 인공지능 & 폭염으로 부각될 원전 & IPP
6월 미국 모델 포트폴리오가 발간됐습니다. 이번 MP에선 미국의 독립발전 기업을 담았습니다. 하반기 데이터센터 투자 재개 및 폭염으로 전력 공급 불안에 의한 독립발전 사업자의 수혜가 예상됩니다. 최선호 종목으로 컨스틸레이션 에너지(CEG), 차선호 종목으로 비스트라 코퍼레이션(VST)을 제시합니다.
해외주식분석 강재구 2025.05.16
-
[암호화폐] 나스닥과의 상관계수 하락, 금에서 비트코인으로
비트코인이 100K를 다시 돌파했습니다. 올해 비트코인의 성과는 상대적으로 견조했습니다. YTD로 10.5% 오르며 올해 낙폭을 모두 만회했습니다. 증시가 조정 받을 때도 나스닥 대비 하락 폭이 크지 않았습니다. 기술주와의 상관계수가 하락하고 있습니다. 금과의 상관관계는 점점 확대되며 안전자산으로서의 면모가 부각되고 있습니다. 미국과 중국이 협상을 통해 관세를 인하했지만, 일시적이며 여전히 높은 수준입니다. 장기적으
해외주식분석 김유민 2025.05.15
-
[중국/신흥국주식] 경기부양 효과 극대화 위해 꺼내들 카드 - 부동산
하반기에도 중국 정부의 부양기조는 계속될 것입니다. 부동산 시장의 하단 다지기가 마무리되고 반등하는 모습까지 확인된다면 중국 정부가 추진하는 소비촉진 & 물가 반등 유도 정책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습니다. 앞으로 중국의 미분양주택 매입이 빨라질 것으로 생각합니다.
해외주식분석 정정영 2025.05.15
-
[한화 글로벌 자산배분] 지역 다각화: 흔들리는 시장에서 흔들림을 줄일 방법
2025년 들어 투자자들의 자금이 비미국 증시로 유입되고 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가 전세계를 대상으로 선포한 관세 정책이 도리어 미국에 가장 큰 타격을 입힐 것으로 예상되며 글로벌 증시의 분위기가 뒤바뀌었습니다. 관세가 미국의 경기 둔화 우려를 키우는 동안, 유럽은 기준금리를 내리고 독일은 돈을 풀고 중국은 내실을 다지고 있습니다. 인플레이션 우려가 확대되며 미국 주식과 채권의 상관관계도 높게 유지되고 있습니
해외주식분석 임해인 2025.05.13
-
[미국주식] US Hot Clip 러-우 전쟁 협상 성사될까
US Hot Clip이 발간되었습니다. 주요 이슈, 주요 지수 및 주간 수익률, 미국 주식 MP 수익률, 섹터 동향 등을 담았습니다.
해외주식분석 강재구 2025.05.13
-
해외주식분석 글로벌리서치팀 2025.05.12
-
[대체자산] 대체(자산) 어쩌라는 지정학 관세 충격 피하기: 미중 패권 경쟁의 새로운 전선, 희토류
안녕하세요, 대체자산 담당 김유민입니다. 미중 무역 분쟁이 격화되고, 중국이 희토류 수출을 통제하기 시작하면서 방산 산업, 첨단 산업에 대한 우려가 많습니다. 희토류의 수급 현황, 산업별 희토류 사용량, 중국을 대체할 수 있는 기업 등에 대해 다뤘습니다. 지정학 측면에서 국가들 간의 관계를 파악했고, 관세와 러-우 전쟁 상황에 따른 자산 시장 영향도 살펴봤습니다.
해외주식분석 김유민 2025.05.09
-
[미국주식] 구조적 약세장 아니지만, 일시적 조정 대비할 때
18개월에 한 번 발생하는 통상적인 10 - 15% 조정을 뛰어넘는 약세장 (20% 초과 하락으로 정의)을 촉발한 것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였습니다. 관세 정책은 주요 정치인들의 의지와 지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 문제입니다. 4월 2일에 발표됐던 관세 수준이 야기할 수 있는 잠재적인 대공황은 어떤 권력자도 원하지 않을 것입니다 (3, 4월 이글스 참조).
해외주식분석 한상희 2025.05.07